[dsm_gradient_text gradient_text=”학교 시스템을 고소합니다. – by Prince Ea” _builder_version=”4.17.6″ _module_preset=”default” header_font=”Nanum Pen Script||||||||” header_font_size=”60px” background_color_gradient_direction=”90deg” background_color_gradient_stops=”#ffe735 0%|#ff9933 100%” text_orientation=”center” hover_enabled=”0″ global_colors_info=”{}” header_font_size_last_edited=”on|phone” sticky_enabled=”0″ header_font_size_phone=”46px” header_font_size_tablet=”60px”][/dsm_gradient_text][dsm_typing_effect typing_effect=”%22모든 사람은 천재 입니다. 그러나 나무를 타고 오르는 능력만으로 물고기를 평가를 한다면, 그 물고기는 평생을 스스로 바보라 생각하면서 살 것입니다. (Everyone is a genius. But if you judge a fish by its ability to climb a tree, it will live its whole life believing that it is stupid.)%22″ before_new_line=”on” after_typing_effect=”- by 알버트 아인슈타인 (Albert Einstein)” after_new_line=”on” typing_loop=”off” typing_speed=”30ms” typing_fadeout=”on” _builder_version=”4.17.6″ _module_preset=”default” header_font=”Nanum Pen Script||||||||” background_layout=”dark” hover_enabled=”0″ global_colors_info=”{}” header_font_size_last_edited=”on|phone” header_font_size_phone=”24px” sticky_enabled=”0″][/dsm_typing_effect]
[dsm_text_notation notation_text=”Summary” notation_type=”highlight” _builder_version=”4.17.6″ _module_preset=”default” header_font=”|800|||||||” background_layout=”dark” global_colors_info=”{}”][/dsm_text_notation]
[dsm_text_notation notation_text=”이 시험들은 너무나 부실하여 폐기되어야 한다.” notation_type=”circle” _builder_version=”4.17.6″ _module_preset=”default” header_font=”|600|||||||” header_font_size=”18px” text_orientation=”center” background_layout=”dark” global_colors_info=”{}”][/dsm_text_notation]
150년 전과 현재, 시대는 바뀌었으나 학교 교육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우리 모두 과거에서 왔으나 과거에 얽매여 살 수는 없습니다. 이제 우리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이며, 비판적이고, 독립적이면서 서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누구를 가르쳐 본 적이 없는 정책입안자들이 만든 교육과정은 사지선다 표준화된 시험들에만 매달리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성공을 규정한다면서요.
표준화 시험을 개발한 프레드릭 켈리의 이야기입니다.
(틀에 박힌 기존의 교육과정에 의한) 학교에서 가르쳐준 대로 사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스스로 생각하고 모든 학생의 가치를 가져올 수 있도록 모든 재능들에 공정한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꿈같은 이야기 일 수 있지만 핀란드 같은 나라에서는 이러한 인상적 일들이 일어납니다. 숙제는 존재하지 않고 경쟁보다는 협동에 초점을 맞추지만 그 나라의 교육체제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놀라운 성취를 내고 있고, 싱가포르를 비롯해 다른 나라들도 그런 방법을 뒤쫒아 가고 있습니다. 몬테소리 학교나 칸 아카데미 같은 것들 말입니다.
정답이 있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시도해보는 겁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전체 인구의 20% 정도이겠지만 우리 미래의 100% 이니까요. 그러니 그들의 꿈들에 관심을 둡시다. 무엇을 성취할지 미리 정해놓지 말구요.
[dsm_gradient_text gradient_text=”이런 세상이 물고기가 더는 나무를 오르지 않아도 되는 곳입니다.” _builder_version=”4.17.6″ _module_preset=”default” header_font=”Nanum Pen Script||||||||” header_font_size=”60px” background_color_gradient_stops=”#ffe735 0%|#ff9933 100%” text_orientation=”center” hover_enabled=”0″ global_colors_info=”{}” header_font_size_last_edited=”on|phone” header_font_size_phone=”35px” sticky_enabled=”0″ header_font_size_tablet=”60px”][/dsm_gradient_text]